제목 [문화일보] “도시 재창조 ‘재생→혁신’으로… 정부-지자체-기업 소통의 장 만든다” 작성일 22-09-19 15:16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395

본문

6e3ffe4eeae8379ae4fe23b593be77c9_1663568177_8304.jpg
 

■ 도시혁신박람회 내달 25일 개최… 김현수 위원장 인터뷰

재건축·개발도 사업범주 포함
민간기업 중심 투자 적극 지원

환승역세권 중심 주거환경 재편
‘콤팩트시티’ 새 경향으로 부상

기존 도시재생 사업 중단보단
성과 빨리 내도록 구조 개편



국토교통부와 경기도, 용인특례시, 문화일보, (사)도시재생산업진흥협회 등이 공동 주최하는 ‘2022 대한민국도시혁신산업박람회’가 오는 10월 25∼28일 경기 용인시종합운동장에서 열린다. 윤석열 정부의 새로운 도시공간 재창조 방향을 제시하는 이번 박람회에는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관련 산업계 등이 참여해 지역 특색을 담은 다양한 사업 사례를 보여준다. 


6e3ffe4eeae8379ae4fe23b593be77c9_1663568114_6423.jpg
 

“이번 박람회는 윤석열 정부의 새로운 도시공간 재창조 정책을 확인하고, 민간기업과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 등이 소통하는 정보 교류의 장이 될 것입니다.”도시혁신산업박람회 추진위원장인 김현수(사진) 단국대 도시계획부동산학부 교수는 올해 행사의 특징을 이같이 소개했다.

기존 도시재생산업박람회에서 도시혁신산업박람회로 명칭을 바꾼 이번 행사는 도시공간 재창조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김 교수는 “지난 정부는 재개발·재건축을 도시재생 범주에 포함하지 않고, 지자체와 도시재생지원센터 중심의 정책을 펼쳤지만 새 정부에서는 민간과 기업 중심의 재개발·재건축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전 정부의 ‘재생’ 정책과 새 정부의 ‘혁신’ 정책의 차이점을 설명했다. 그는 “지난 정부는 공공 재정 마중물을 재원으로, 주거 공동체 활성화와 주민 역량 강화를 통한 지역 쇠퇴 극복에 초점을 맞춰 도시재생을 진행했다”며 “현 정부는 도시공간 재창조와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한 혁신 거점 만들기, 지역 특성을 반영한 도시재생 등을 정책 방향으로 제시하며 민간 투자와 기금 활용 확대 전략을 세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민간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수익 구조가 전제돼야 한다”며 “도시재생 사업에 재개발·재건축 등을 도입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도시재생의 범위는 나라마다 학자마다 다르다. 김 교수는 “일본은 1998년에 도시재생법을 제정했다. 경제 거품이 꺼지기 시작한 때라 이후로는 경제 회생에 초점을 맞췄다”며 “기업 지원 정책과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특구 사업, 일자리를 만들어내기 위한 일자리창생법 등이 도시재생 범주에 포함됐다”고 소개했다.

김 교수는 서울시 도시계획정책자문위원과 국무총리실 국토정책심의위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회장을 역임한 도시계획 전문가다. 그는 “전 정부는 공공 중심 외곽 신도시 공급을 추진했지만 현 정부는 민간 중심으로 도심 공급을 공략하고 있다”며 “코로나19 영향으로 재택근무가 확대되며 ‘로컬’의 중요성이 부상했다. 또 주거는 외곽·환승역세권 중심으로 분산되고, 고급 일자리는 도심에 집중될 것”이라고 향후 도시공간 재창조 방향을 전망했다.

김 교수는 특히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모빌리티 혁명에 따른 환승역세권 중심의 ‘콤팩트시티’에 주목했다. 그는 “서울시가 추진 중인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콤팩트시티의 표본”이라며 “용산역이 GTX와 도심항공교통(UAM)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연계하는 복합환승센터 개념의 ‘모빌리티 허브’로 완성되면 120조 원의 매출이 발생하는 판교보다 10배 이상의 가치를 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복합환승센터에 기업성장지원센터까지 더해지면 영국 런던 킹스크로스역, 프랑스 파리 스테이션에프 같은 ‘직주락(職住樂)’ 플랫폼이 된다”며 “또 최근 수해 등을 겪으며 기후 위기에 대한 각성을 통해 대중교통 위주의 도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 따라 환승역세권 중심의 콤팩트시티가 새로운 경향으로 떠오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새 정부의 도시공간 재창조 사업은 어떤 방식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하냐”는 질문에 “중앙정부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혁신 거점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근린 주거 공동체 중심의 재생 사업은 지방정부에 일임하는 방향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고 답했다. 그는 “새 정부 도시공간 재창조 사업의 골자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속도를 내기 위해 안전진단 기준과 부담금을 완화하고, 용적률 특례를 부여하는 것”이라며 “기존 도시재생 사업을 중단하기보다는 사업 성과를 빠르게 내기 위한 방향으로 구조를 개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국 지자체는 대부분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재생·정비 계획을 수립했다. 김 교수는 “도시재생은 법에 의한 범위가 명확하지만 도시혁신은 스펙트럼이 넓다. 재개발·재건축과 도시 개발 사업, 기반시설 입체화, 스마트 기술 등 다양한 범주가 모두 도시혁신에 포함된다”며 “도시공간 재창조를 위해 민간 투자를 유치하고, 혁신적 기술을 도시공간 재창조에 활용한 사례가 있는 지자체는 이번 박람회에 나와 정보를 얻고 중앙정부, 기업, 타 지자체 등과 소통하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혁신 공간을 창출하거나 탄소 중립 도시 건설, 재생에너지 활용 도시관리 등의 계획이 있는 지자체는 이번 박람회에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일반인들도 이번 박람회를 통해 미래 도시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김 교수는 “이번 박람회에 복합환승센터를 기반으로 한 콤팩트시티 청사진과 수변·하천 공원, 재생에너지타운, 도로 지상부 입체공원 등 도시공간 재창조의 혁신적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다양한 내용이 전시된다”며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미래 변화상을 박람회 전시를 통해 그려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경제거점·공공투자·혁신 등 시상부문 세분화… ‘참가부스 현장평가’도 신설

■ 작년과 무엇이 달라졌나


‘2022 대한민국도시혁신산업박람회’에서는 도시공간 재창조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관련된 기술·산업·정책 등에 관한 다양한 내용이 전시된다.

이번 박람회 주요 추진 방향은 경제 거점 조성과 지역 특화 재생을 통한 도시공간 재창조다. 전국 각 지역의 쇠퇴한 원도심에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거점을 조성해 민간 투자를 유도하고, 도시공간 혁신을 도모하며 역사·문화 등 지역 고유의 콘텐츠를 담은 맞춤형 재생 사업 사례를 만날 수 있다.

도시재생산업박람회에서 도시혁신산업박람회로 바뀐 명칭에 걸맞게 기존 지방자치단체 위주의 행사에서 탈피해 도시 재정비 관련 산업계 등 여러 주체가 참여한다. 또 평가 체계를 정비하고, 시상 부문을 경제 거점·공공투자·혁신 등으로 나눴다. 특히 새 정부의 정책 기조를 반영해 공공·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시상을 확대했다. 아울러 전시에 참여한 지자체와 공공기관, 민간단체, 기업 등을 대상으로 관람객의 현장 투표와 심사위원 심사를 거쳐 공공·민간 등 2개 부문에 시상하는 ‘참가부스 현장평가’를 신설했다.

800여 부스에 혁신지구와 지역 특화재생 사례를 전시해 도시재생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새 정부 도시 재정비 정책에 관련된 세미나도 개최된다. 리츠협회·건설협회·주택도시보증공사(HUG)·엔지니어링협회·한국부동산원 등이 참여하는 세미나에서는 경제 거점 조성에 민간 참여를 활성화하고, 지역 특화를 위한 기업의 역할 등을 논의한다.

공공기관관에는 정부정책존·지방자치단체존·공기업존이 들어서고, 테마관에는 일자리존·도시재생마켓존·우시기업홍보존이 마련된다. 또 산업관은 건설설비디벨로퍼존·에너지존·엔지니어링존·프롭테크스마트시티존·생활SOC디지털존·스타트업벤처존 등으로 구성된다. 


10월 25일 용인시종합운동장 메인 무대에서 열리는 개막식에서는 용인전통연희원과 경기도립무용단, 용인대태권도시범단의 공연이 펼쳐진다. 박람회를 공동 주최하는 (사)도시재생산업진흥협회 최민수 사무국장은 “이번 박람회는 전국 지자체와 공기업, 민간기업, 학계, 민간단체 등이 참여해 도시공간 재창조를 통한 지역 간 연계와 균형 성장을 논의하는 민간·공공 협력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구철 기자 kckim@munhwa.com 



출처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2090801032312053001



도시혁신 산업박람회 추진위원회 사무국 주소 :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4나길 46, 덕성빌딩
TEL : 02)785-5801 FAX : 02)784-5801 이메일 : kuria@kuria.or.kr

COPYRIGHT(C) City Renaissance Industry EXPO ALL RIGHT RESERVED.